티스토리 뷰






KRX 금 거래는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금 현물시장으로, 투명한 시세와 안전한 보관 체계를 갖춘 것이 강점입니다. 실물 금 대비 부가세 부담이 없고, 금 ETF 대비 거래 구조가 단순해 수수료·세제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KRX 금시장의 수수료 항목과 절세 구조, 계좌 개설 및 거래 절차를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💡 요즘 모두가 주목하는 금 투자,
실제로 어떻게 시작하는지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꼭 확인해보세요.
1) KRX 금 거래의 기본 구조
KRX 금시장은 1g 단위로 호가되는 금 현물의 전자거래 시장입니다. 투자자는 증권사 금현물 계좌를 통해 장내 호가로 금을 사고팔고, 체결된 금은 KRX 지정 창고에 안전하게 보관됩니다. 필요하면 실물 인출도 가능하지만, 인출 시엔 별도의 출고·제련·배송 등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
2) KRX 금 거래 수수료 항목
실제 체감 비용은 증권사 위탁수수료 + 거래소/청산 관련 수수료 + 보관(창고) 수수료 + 출고(실물 인출) 비용으로 구성됩니다. 비율과 정액은 증권사·창고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계좌 개설 전 고지사항을 꼭 확인하세요.
| 수수료 항목 | 설명 | 체크 포인트 |
|---|---|---|
| 증권사 위탁수수료 | 금 현물 매수·매도 체결 시 부과 | 모바일 우대/이벤트로 인하 가능 |
| 거래소·청산 수수료 | KRX 시장·청산 이용 비용 | 증권사 고지 비율에 포함되는 경우 다수 |
| 보관(창고) 수수료 | 보유 중 금의 보관 비용 | 일일/월별 과금, 잔고 규모에 따라 차등 |
| 출고(실물 인출) 비용 | 인출·제련·배송·보험 등 실물 인도 시 | 단위·지역별 상이, 사전 견적 필수 |
3) KRX 금의 절세 구조
KRX 금 거래의 가장 큰 장점은 세제 혜택입니다. 일반 개인투자자의 장내 매매에 대해
- 부가가치세: 면세 (장내 매매 기준)
- 양도소득세: 비과세 (장내 매매 기준)
- 증권거래세: 부과 없음
즉, 실물 금 구매 시 발생하는 10% 부가세 부담 없이 금 가격에 순수하게 베팅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. 다만 실물 인출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제련·배송 등 비용과 함께 세금(부가세 등)이 부과될 수 있으니, 인출 전에 증권사와 창고에 비용·세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4) 계좌 개설 및 거래 절차
| 단계 | 내용 |
|---|---|
| ① 금 현물 계좌 개설 | 증권사 앱에서 ‘금 현물/금현물’ 계좌 개설 (비대면 가능) |
| ② 호가 확인 | KRX 금 코드(1g 기준) 현재가·호가창 확인 |
| ③ 주문·체결 | 주식처럼 지정가/시장가 주문, 체결 즉시 창고 보관 |
| ④ 보유·매도 | 보유 중 수수료(보관) 체크, 매도 시 현금 정산 |
| ⑤ 실물 인출(선택) | 출고 신청 → 창고 수령(비용·세금 별도) |
5) KRX vs 실물 금 vs 금 ETF
| 구분 | KRX 금 | 실물 금(골드바) | 금 ETF |
|---|---|---|---|
| 세금 | 장내 매매 비과세·면세 | 구매 시 부가세 10% | 국내 ETF 기타소득세 15.4% |
| 보관 | 창고 보관(수수료) | 자가 보관(분실·훼손 리스크) | 없음 |
| 환금성 | 장내 실시간 매매 | 매입처 재매입 조건 | 장내 실시간 매매 |
| 실물 인출 | 가능(출고 비용·세금 가능) | 보유 자체가 실물 | 불가 |
핵심 요약
- KRX 금은 부가세·양도세·거래세 부담 없이 장내에서 투명하게 매매.
- 체감 비용은 위탁수수료 + 보관수수료 + (선택 시) 출고비용.
- 실물 인출 계획이 없다면 장내 보유·매매가 세제 효율적.
- 장기 보유자는 보관비, 단기 매매자는 위탁수수료를 중점 비교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